본문 바로가기
개발기록/Python

파이썬 자료형, 리스트 집중탐구하기 / [파이썬 도장깨기]

by 쎄정 2022. 6. 2.
728x90
반응형

목차

     

    2022.05.31 - [개발기록/Python] - 파이썬 자료형 알아보기, 숫자형, 문자형,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bool

     

    파이썬 자료형 알아보기, 숫자형, 문자형,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bool

    자료형 종류 숫자형(Integer)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정수, 실수, 8진수, 16진수가 있다. a = 1234 #정수형 123, -345, 0 a = 1.2 #실수, 123.45, -1234.5 a = 0o17 #8진수, 0o34, 0o25 a = 0x8ff #16진..

    theseaah.tistory.com

     

    리스트 복사

    # 첫번쨰 방법
    >>> a = [10,20,30]
    >>> b = a
    
    >>> a[1] = 40
    >>> a		#결과 : [10, 40, 30]
    >>> b		#결과 : [10, 40, 30]
    
    # 두번쨰 방법 : 
    >>> b = a[:]
    >>> a[1] = 40
    >>> a		#결과 : [10, 40, 30]
    >>> b		#결과 : [10, 20, 30]
    
    #세번째 방법 copy
    >>> a = [10, 20, 30]
    >>> b = copy(a) 		# b = a[:]가 같다

     

    리스트 인덱싱

    >>> a = [1, 2, 3]
    >>> a[0]						#결과 : 1
    >>> a[0] + a[2]						#결과 : 4
    >>> a[-1]						#결과 : 3
    
    >>> a = [1, 2, 3, ['a', 'b', 'c']]
    >>> a[0]						#결과 : 1
    >>> a[-1] 						#결과 : ['a', 'b', 'c']
    >>> a[3] 						#결과 : ['a', 'b', 'c']
    >>> a[-1][0]						#결과 : 'a'
    >>> a[-1][1]						#결과 : 'b'
    >>> a[-1][2]						#결과 : 'c'
    
    #추가 심화
    >>> a = [1, 2, ['a', 'b', ['Life', 'is']]]
    >>> a[2][2][0]						#결과 : 'Life'

     

    리스트 슬라이싱

    문자열을 나눈다

    >>> a = [1, 2, 3, 4, 5]
    >>> a[0:2] 				#결과 : [1, 2]
    
    >>> a = "12345"
    >>> a[0:2]				#결과 : '12'
    
    >>> b = a[:2]				#결과 : [1, 2]
    >>> c = a[2:]				#결과 : [3, 4, 5]
    
    #추가 심화
    >>> a = [1, 2, 3, ['a', 'b', 'c'], 4, 5]
    
    >>> a[2:5] 				#결과 : [3, ['a', 'b', 'c'], 4]
    >>> a[3][:2]				#결과 : ['a', 'b']

     

    리스트 연산

    더하기(+) / 곱하기(*) / 길이구하기

    #리스트 더하기(+)
    >>> a = [1, 2, 3]
    >>> b = [4, 5, 6]
    >>> a + b 			#결과 : [1, 2, 3, 4, 5, 6]
    
    
    #리스트 곱하기(*)
    >>> a = [1, 2, 3]
    >>> a * 3 			#결과 : [1, 2, 3, 1, 2, 3, 1, 2, 3]
    
    
    길이구하기
    >>> a = [1, 2, 3]
    >>> len(a) 			#결과 : 3

     

    리스트 연산오류

    >>> a = [10, 20, 30]
    >>> a[2] + "hi"			#결과 : TypeError
    >>>str(a[2]) + "hi"		#결과 : 20hi

     

    리스트 수정과 삭제

    del a[x]는 x번째 값을 삭제한다.
    del [a:] 리스트를 활용하여 여러개를 한꺼번에 삭제할 수 있다.

    # 리스트의 수정
    >>> a = [10, 20, 30]
    >>> a[2] = 40
    >>> a					#결과 : [10, 20, 40]
    
    
    # 리스트의 삭제
    >>> a = [10, 20, 30]
    >>> del a[1]
    >>> a					#결과 : [10, 30]

     

    728x90

     

    리스트 함수

    요소 삽입, insert

    변수.insert(x,y) 리스트의 x번째에서 y를 삽입하는 함수이다.

    >>> a = [10, 20, 30]
    >>> a.insert(0, 4)		# a[0] 위치에 4를 삽입한다.
    >>> a 					#결과 : [4, 1, 2, 3]

     

    요소 제거, remove

    변수.remove(x) 리스트내 첫 번째로 나오는 x를 삭제하는 함수이다.

    >>> a = [10, 20, 30, 10, 20, 30]
    >>> a.remove(3)
    >>> a								#결과 : [10, 20, 10, 20, 30]

     

    요소 추가, append

    변수.append(x)는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추가하는 함수이다.

    >>> a = [10, 20, 30]
    >>> a.append(40)
    >>> a					#결과 : [10, 20, 30, 40]
    
    #리스트 추가도 가능하다.
    >>> a.append([50,60])
    >>> a					#결과 : [10, 20, 30, 40, [50, 60]]

     

    선택값 뽑아내기, pop

    변수.pop()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를 돌려주고 해당 요소는 삭제하는 함수이다.

    >>> a = [10, 20, 30]
    >>> a.pop()				#결과 : 30
    >>> a					#결과 : [10, 20]

     

    정렬, sort

    변수.sort() 리스트를 순서대로 정렬하는 함수이다.

    >>> a = [10, 40, 30, 20]
    >>> a.sort()
    >>> a						#결과 : [10, 20, 30, 40]

     

    역순정렬, reverse

    변수.reverse() 리스트를 역순으로 뒤집는 함수이다.
    리스트 그대로를 거꾸로 뒤집는다. 순서대로 정렬후 뒤집지 않는다.

    >>> a = ['apple', 'carrot', 'banana']
    >>> a.reverse()
    >>> a						#결과 : ['banana', 'carrot', 'apple']

     

    위치반환, index

    변수.index(x) 리스트에 x값이 있으면 x의 위치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 a = [10, 20, 30]
    >>> a.index(30)				#결과 : 2
    >>> a.index(10)				#결과 : 0

     

    갯수 세기, count

    변수. count(x)는 리스트 안에 x의 갯수를 세워주는 함수이다.

    >>> a = [1,2,3,1]
    >>> a.count(1)			#결과 : 2

     

    확장하기, extend

    변수.extend(x)는 리스트만을 원래 리스트 x에 더하는 함수이다.

    >>> a = [10, 20, 30]
    >>> a.extend([40, 50])
    >>> a						#결과 : [10, 20, 30, 40, 50]
    
    >>> b = [6, 7]				
    >>> a.extend(b)				
    >>> a						#결과 : [10, 20, 30, 40, 50, 60, 70]
    728x90
    반응형

    댓글